미리캔버스 이미지 수익 차이의 진짜 이유는? 수익 구조 완전 정리
드뎌 승인이되고, 판매시작~!!
승인이 되자마자
다음날 부터 1-2개씩 계속 팔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통 1개당 20원 단위였는데,
갑자기 1개가 60원대로 들어와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뭔차이지??
Q:
미리캔버스 수익 어떤 사진은 62원 수익인데, 어떤 사진은 28원 입니다. 무슨차이인가요?
A:
미리캔버스를 통해 AI나 직접 제작한 이미지를 판매해 수익을 올리고 있는 분들이라면,
이미 같은 플랫폼에서 이미지별로 수익이 다르게 발생하는 걸 경험해보셨을 거예요.
어떤 이미지는 다운로드 1건당 62원이 들어오고, 또 어떤 건 28원밖에 안 되는 경우,
"도대체 왜 이럴까?" 하고 궁금해지죠.
오늘은 미리캔버스 이미지 수익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1. 사용자의 라이선스 유형이 다르다
미리캔버스는 개인뿐 아니라 기업, 교육기관 등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디자인 툴입니다.
이때 사용자가 이미지를 어떤 용도로 쓰느냐에 따라 수익 단가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 기업/상업용 사용 시: 수익 단가가 높음 (보통 50원~100원 이상)
- 개인/정액제 사용 시: 단가가 낮음 (보통 20원~40원대)
즉, 같은 이미지를 제공했더라도 사용 주체의 차이로 수익이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 2. 이미지 사용 위치와 비중에 따른 차이
디자인 전체에서 이미지가 핵심인지, 보조인지에 따라 수익 분배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대표 이미지나 썸네일로 사용되었을 때 ➤ 높은 수익
- 배경, 아이콘, 텍스처 등으로 사용 ➤ 낮은 수익
사용 위치에 따라 플랫폼이 지급하는 비율이 달라질 수 있어요.
✅ 3. 정액제 사용자의 다운로드일 경우 단가가 낮아진다
미리캔버스에는 월 정액 요금제 사용자가 많습니다.
정액제를 이용한 사용자의 다운로드는 일정 금액을 다운로드 수로 나눈 구조라서
이미지 1건당 정해진 분배 금액이 낮을 수밖에 없어요.
예: 월 5천 원 요금제 사용자가 하루에 20개 이미지 사용 시 ➤ 이미지당 단가가 25~40원 수준
✅ 4. 미리캔버스 내부의 수익 분배 알고리즘
미리캔버스는 작가들에게 "개별 건 단가" 외에도 월 전체 수익을 기준으로 정산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 수익은 사용 횟수, 다운로드 수, 작가별 누적 기여도에 따라 분배되기 때문에
단가가 이미지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사용자 | 기업, B2B 사용 | 개인, 정액제 사용자 |
사용 위치 | 중심 이미지, 썸네일 | 배경, 부가 요소 |
수익 구조 | 개별 정산 | 정액제 분배 |
기여도 | 적은 다운로드에도 단가 높음 | 많이 사용돼도 낮은 단가 가능 |
💡 수익을 높이고 싶다면?
- 시리즈 구성: 같은 컨셉으로 3~5개 이상 묶어서 업로드
- 검색 최적화 태그 사용: 미리캔버스 내부 검색에 맞게 "아기동물", "아이 일러스트", "배경 디자인" 등
- 핵심 이미지 중심으로 구성: 배경보다는 중심 캐릭터나 요소 중심
즉, 기업에서 살만한 사진을
올려야한다는 소리네요.
아니면 대중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찾을만한
이미지를 올려야한다는 소리인듯..
미리 캔버스 승인 결과가
평균 5-6일이라
그리고 아직은 초보등급 20개만 가능해서
좀 아쉽기는 하지만
꾸준하게 파이프라인 늘려가려고요.
shutterstock의 "데이터 라이선싱 가능" 이라는 문구가 생겼는데 데이터 라이선싱 가능 이게 뭔가요
최근 shutterstock 에 사진 검토신청을 해놓은 상태였는데, 여러군데 올리긴하는데 사이트들마다 다 다르니, 검토 승인 후 "데이터 라이선싱 가능" 이라고 써있었습니다. 생소한것에 대해 순간
with-chat-gpt.tistory.com
미리캔버스 "사진" / "배경" DPI 무료로 쉽게 올리는 법
미리캔버스 "사진" / "배경" DPI 무료로 쉽게 올리는 방법 DPI는 출력해상도 (즉, 인쇄용)을 의미합니다. 보통 온라인 사진판매에서는 신경안쓰는 부분인데, 미리캔버스에 사진이나 배경을 올릴
with-chat-gpt.tistory.com
PNG, 하고 Vector 파일 하고 무슨 차이인가요?
Q: PNG 하고 Vector 파일 하고 무슨 차이인가요? A: PNG vs. 벡터 파일 차이점✅ PNG (Portable Network Graphics)형식: 래스터(비트맵) 이미지구성 요소: 픽셀(pixel) 단위로 이미지 표현확대 시: 해상도가 낮으
with-chat-gpt.tistory.com
'사진 부업 Q & A with ChatGPT > miri canvas (AI 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리캔버스 템플릿 ] 수익이 적은 이유? 사용 수익 계산법과 수익 늘리는 핵심 전략 총정리 (0) | 2025.04.24 |
---|---|
[ 미리캔버스 ] 수익 올리는 계정 운영 전략! 아이콘·배경 이미지 계정 따로 유지해야 할까? (1) | 2025.04.18 |
미리캔버스 "사진" / "배경" DPI 무료로 쉽게 올리는 법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