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으로 사진판매 플랫폼 wirestock 에도 사진들이 등록 되어있습니다.
유튜브에 정약용님의 사이트 보고 동영상의 A to Z 다 시도해봤는데,
유일하게 수익난곳이 wirestock 여긴데....
음...
2024년 11월 말즘 20장의 사진을 올려놓고,
연말연시 등으로 잊고 있다가 1월에 그냥 들어가봤는데,
수익이 진행 중이더군요.. 한건당 $0.2 씩,
그러다 2025년 2월까지 약 $10 이 되더니 멈추더라구요.
이제 4월이 되가는데 두달째 멈춤상태라 ...
궁금해서 챗지피티에게 물어봤습니다.
Q:
사진판매 플랫폼 wirestock 수익이 멈췄습니다. 왜 멈췄을까요?
A:
ChatGPT의 말:
Wirestock에서 수익이 갑자기 멈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유를 아래에 정리해드릴게요:
🔍 1. 콘텐츠 검수 및 승인 지연
- 업로드한 사진이나 영상이 검수 대기 중이거나 아직 승인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어요.
ㄴ 왠만해선 7일 안에 승인 결과가 나와요.. 그런데 일반 포토폴리오에서만 판매(즉, 제가 직접 타사이트에 링크 거는 작업을 해야해요)
- 승인 전에는 파트너 스톡 사이트(Shutterstock, Adobe Stock 등)에 유통되지 않기 때문에 수익도 발생하지 않아요.
ㄴ 여기 Wirestock의 장점은 다른 사진판매 플랫폼 제휴회사들의 사이트로 제 사진을 일괄적으로 뿌려줍니다. 단점은 월 비용을 내야지 가능해요. (전 안했어요.. 이거 솔직히 노가다 비용만큼 안나와요.)
🔍 2. 파트너 플랫폼 판매 트렌드 변화
- Wirestock은 사진을 여러 스톡 플랫폼에 유통하지만, 각 플랫폼마다 수익이 발생하는 빈도와 금액이 달라요.
- 최근에는 스톡 사진 시장의 포화, 또는 AI 이미지 확산 등으로 인해 판매량 자체가 줄어든 경우도 많습니다.
ㄴ 제가 보기엔 제 판매가 멈춘게, 이 이유가 제일 클듯 싶네요.. 그리고, 고퀄리티 사진들은 구매자가 그만큼의 저작권을 본인이 부담하고 사는거라 다른곳에 같은 사진들을 올릴수 없지만, 저컬 사진들은 여러군데 뿌려도 상관없다 보니.. 저 말고도 판매하는 전세계사람들이 최소 몇천명이 될텐데...
🔍 3. 계정 이슈 / 저작권 문제
- 업로드한 이미지에 저작권 문제, 초상권 미확인 등 문제가 생기면 비공개 처리되거나 판매 제한이 걸릴 수 있어요.
- Wirestock 혹은 파트너사에서 경고 메일이 온 적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4. 수익 보고 지연
- 수익 리포트는 매우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Adobe Stock은 한 달 이상 딜레이가 생기기도 하고,
- 일부 파트너는 월말 또는 그 다음달 초에만 보고가 되기도 합니다.
🔍 5. 플랫폼 정책 변경
- Wirestock이 일부 플랫폼과의 제휴 정책을 변경했을 수도 있습니다.
- 예전에는 업로드가 되던 사이트가 더 이상 포함되지 않으면 수익이 줄 수 있어요.
✅ 확인해 볼 것들
- Wirestock 대시보드에서 최근 업로드 상태 확인
- 파트너 플랫폼 리스트에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
- Wirestock 혹은 관련 스톡 사이트에서 온 메일/공지 확인
- 본인의 이미지가 여전히 공개 상태인지 여부 확인
- 수익이 최근에도 들어오는 대표적인 이미지가 있는지 확인
Q:
Wirestock 대시보드 분석을 기반으로 수익 분석이나 키워드 최적화, 판매 잘 되는 카테고리도 도와주세요.
A:
📊 1. Wirestock 수익 분석 가이드
🔹 확인할 주요 항목 (대시보드 기준)
- Top-performing assets: 어떤 이미지가 수익을 내고 있는지
- 판매 채널별 수익: Shutterstock, Adobe Stock, Pond5 등
- 파일 유형별 분석: 사진, 벡터, 영상 중 어떤 것이 강세인지
- 월별 수익 그래프: 계절성 확인 가능
🔎 수익 감소 진단 체크리스트
이미지 업로드가 최근 줄었나요? | 최근 업로드 기록 확인 |
승인률이 떨어졌나요? | 승인/반려 비율 확인 |
판매량 높은 사진이 오래된 건인가요? | 최근 인기 콘텐츠 유무 확인 |
특정 플랫폼에서만 수익이 떨어졌나요? | 파트너별 수익 비교 |
🏷️ 2. 키워드 최적화 팁
📌 핵심 전략
- 구체적 키워드 사용: 예) boy, ball → asian boy playing soccer in park
ㄴ 이 방법 정말 중요합니다. 롱키워드로 작성하셔야해요... 즉, 긴 제목~!! 필수
- 트렌드 키워드 반영: 계절/이벤트 (e.g. spring picnic, remote work, AI)
- 장소/상황 포함: 예) in Korea, urban cityscape, family dinner at home
📍 키워드 도구 추천
- Wirestock 자체 키워드 추천 기능 사용 / 수동키워드
- Shutterstock Keyword Tool: 자체 키워드 추천 기능 사용 / 수동키워드
- Adobe Stock Keyword Trends: 월별 인기 키워드 공개
🔥 3. 요즘 잘 팔리는 인기 카테고리 (2024~2025 트렌드 기준)
🧑💻 재택근무/디지털노마드 | 비즈니스, 블로그용 수요 많음 |
🌱 지속 가능성/친환경 | ESG 관련 콘텐츠 수요 증가 |
👨👩👧👦 일상 속 가족/아이 모습 | 감성 콘텐츠에 잘 활용됨 |
🌏 지역 로컬 문화/음식/거리 | 외국인 대상 콘텐츠로 인기 |
🤖 AI/미래기술/로봇 관련 | 기술 관련 웹사이트에서 사용 증가 |
✅ 팁: 사람 얼굴이 나온 콘텐츠는 초상권 동의(모델 릴리스)를 꼭 첨부하세요!
저 나름대로도 사진 판매 플랫폼에 분석을 해보는데,
키워드 같은경우는 긴문장의 제목을 붙혀야하고, 여러 태그적 단어들을 다 녹여서 롱키워드식으로 작성해서 올려야해요.
예로, 산책하는 강아지 사진을 올리려고 한다면,
"산책하는 강아지" 라는 제목으로 짧게 올리면, 태그가 산책, 강아지 두개 밖에 안나타기 때문에,
"따스한 봄날씨를 만끽하기위해 나의 사랑스러운 반려견 강아지와 시원한 공기 마시며 공원에서 산책을 함께한 사진"
이렇게 길~~게 문장을 만들면,
일단, 태그가 따스한, 봄, 봄날씨, 사랑스러운, 반려견, 강아지, 나의펫, 시원한, 공기, 공원, 산책 등으로 태그가 늘어나요...
그래서 귀찮아도 짫은 키워드 보다는 긴 키워드를 작성해야해요.
이게 귀찮아도 엄청 중요하더라구요.
그리고, 전 Wirestock에서 유료 결제 (타 사이트에 배포) 하는 것을 안하는 이유가 이미 사진 플랫폼은 포화 상태에요.
AI로 사진도 만들어내고 있고, 또한 플랫폼 회사에서도 AI사진을 판매허락하고 있는 이상. 유료결제 까지 하면서 타사이트에 배포해서 판매된다는 보장이 희박하다고 생각되요..
그리고, 각 사이트별로 규정이 달라서 판매될 것 같은 사진들은 그 회사들 입맛에도 바까서 또 작업을 해야하는 상황이라, 그래서 전 제가 수동으로 각 사이트별로 그들의 입맛에 맞혀 수동 작업하고 있습니다.
제가 올린것중 제일 많이 팔린것인데....
운 좋게 숏키워드로 얻어 걸린 사진이에요.
사진은 저작권 때문에 모자이크 처리 했습니다.
제 실질적 판매 내역입니다.
소소하게 팔리더니 수익이 멈춰버림..
맨 오른쪽 아래 보면 한건 팔린 가격입니다.
$0.25 (현 환율로 약 360원)
3달간 총 39개 팔려서 $10.50
외국 사이트에서 판매의 장점은 환율에따라
돈이 오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긴합니다.
3월 초 에 10.5달러가 14000원이었는데
현재 3월 말인데 15000원 대이네요.
그런데,
현재 사진 플랫폼시장은 이미 포화상태 레드오션이고,
이미 오래 전부터 시작한 전문 사진사들 및 전세계 인구와 경쟁해야합니다.
또한, AI사진들이 점령해서 판매가 쉽지 않다가 제 결론입니다.
그래도,
소소하게 부업으로 하신다면 일주일에 5-10개씩 올리시면
사이트에서 "이 사진작가(판매자)는 활발히 활동하는구나.." 라고
인식되서 카테고리 상위 노출 해준다고 합니다.
저도 이것 때문에 각 사이트별 규정에따라 매주 노가다중이에요. ^^